2018년 7월 26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신문사설
11개 신문사 33개의 신문사설
주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이슈 토픽
카카오톡 오픈채팅 개설(매일 읽는 신문 사설)
카톡으로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open.kakao.com/o/gacxnrQ
오늘의 국내 11개 신문사 사설 주요 주제
1. '기무사 계엄령 문건' 진실 공방
(조선, 중앙, 동아, 한겨레, 경향, 서울, 국민 등 7개 신문사)
2. SK건설 라오스 댐 붕괴 사고
(한겨레, 한국, 서울, 국민 등 4개사)
3. 탈원전에 따른 전력수급 고민
(조선, 중앙, 매경)
4. 경제지표 부진
(한국, 한경, 서경)
5. 노회찬 의원 사망과 정치자금법 개선 요구
(경향, 한국)
6. 의료산업 규제
(중앙, 한경)
7. '북한 동창리 미사일발사장 해체 착수' 평가
(동아, 서울, 국민)
■ 조선일보
■ 중앙일보
정부 예측 훌쩍 넘긴 전력 사용 … 원전 없이 감당되나
■ 동아일보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9일 군 인사들과의 간담회에서 계엄 문건에 대해 한 발언을 둘러싼 진실공방이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국방부 담당 기무부대장인 민병삼 대령이 24일 국회에서 “장관이 ‘(법리적으로) 잘못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폭로한 데 이어 어제도 본보 기자에게 “송 장관의 발언이 포함된 문건을 만들어 상부에 보고했다”고 했다. 이석구 기무사령관도 “민 대령이 모든 것을 걸고 진실을 말한 것으로 본다”고 가세했다.
“수능서 기하·과학Ⅱ 빼면 이공계 사망선고” 科技계 호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를 비롯한 13개 과학기술단체가 어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범위에 ‘기하’와 과학 심화과정인 ‘과학Ⅱ’ 과목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가 2022학년도 수능시험에서 수학·과학 출제 범위를 축소할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이공계 사망선고”라는 반발이다. 교육부는 현재 중3 학생이 치르는 2022학년도 수능부터 ‘문·이과 통합 수능’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검증 없는 北 시설 해체… 비핵화 진전 없이 종전선언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 북한의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해체 움직임에 환영의 뜻을 나타내며 “한국전쟁 참전 전사자 유해 송환 과정도 꽤 빨리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했던 약속에 완전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해체 현장에 감독관을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며 검증 없는 해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북제재 유지 등 압박 캠페인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 한겨레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국군기무사령부 간부들이 국회 국방위에서 계엄령 문건 처리를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면서 사건 파문이 확대되고 있다. 25일 기무사에 대한 국방부·검찰 수사단의 수사가 본격화됐고, 송 장관 발언 내용이 적힌 기무사 보고서가 공개됐다. 국방장관과 휘하 기무사 간부들의 공개 충돌은 매우 이례적인 만큼, 진실을 명명백백히 가리고 경중을 따져 책임을 물어야 한다.
대법원이 최근 ‘사법농단’ 관련 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검찰에 전달했다고 한다. 논란이 되자 25일 법원행정처 관계자가 해명에 나서 “최종 통보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으나, 맥락을 보면 검찰이 요구하는 중요 자료는 더이상 줄 수 없다는 뜻에 변함이 없어 보인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박병대 전 법원행정처장의 컴퓨터 하드디스크 복구작업에서도 성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사법농단의 몸통을 확인하는 수사는 사실상 벽에 부닥친 셈이다.
에스케이(SK)건설이 라오스에 건설 중인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댐의 보조댐이 붕괴돼 최소 수십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실종되는 대형 참사가 벌어졌다. 이재민도 수천명에 이른다고 한다. 실로 참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댐은 에스케이건설과 한국서부발전, 타이(태국) 전력회사 등이 합작법인을 만들어 2013년 2월 착공했고 내년 2월 준공을 앞둔 상황이었다.
■ 경향신문
문제의 본질은 계엄 문건의 진실과 군 개혁이다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국군기무사령부 수뇌부가 국회에서 정면충돌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급변하는 정세에 안보집단으로서의 신뢰를 주기는커녕 군 최상층부가 “거짓말”이니 “각색”이니 하며 진···
노동시간 줄이니 일자리가 생기고 있다7월부터 시작된 ‘주 52시간 근무제’로 3만명가량의 신규채용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가 25일 국회에 보고한 내용을 보면 주 52시간 근무제 대상인 300인 이상 기업 3627곳 중 813곳(22.4%···
‘노회찬 비극’, 이번에야말로 정치자금법 손봐야정치관계법 중에서 이상과 현실의 충돌, 조화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게 정치자금법이다. 2004년 개정된 정치자금법은 금권정치를 청산해 깨끗한 정치 풍토를 만들겠다는 취지에서 정치자금에 대한 엄···
■ 한국일보
소비심리 하락, 수출 비상··· 청와대 새 진용 총력전 펴라
고용 투자 등 각종 경제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소비자심리지수가 1년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한국은행이 25일 내놓은 ‘7월 소비자동향 조사결과’를 보면,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1.0으로 한 달 전보다 4.5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전월 대비 하락 폭으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가장 컸다. 취업자 증가 규모가 6개월 연속 10만명 안팎에 머무는 등 최악의 고용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경기 우려감이 더욱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 노회찬 정의당 의원의 안타까운 죽음을 계기로 정치권에서 정치자금법 개선 움직임이 일고 있다.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25일 “합법적인 방법으로는 모금이 불가능한 많은 원외 정치인들이 불법자금 유혹에 빠지지 않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평생을 노동자와 약자 편에 섰던 고인조차 지킬 수 없었던 비현실적 규정이라면 정치권이 힘을 모아 정치자금 제도를 고치는 것이 타당하다.
라오스 수력댐 사고, 국가ㆍ기업 신인도 걸고 피해복구 지원을
SK건설이 시공 중인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댐의 보조댐 1곳에서 23일 발생한 범람ㆍ유실 사고 파장이 커지고 있다.당시 시간당 450㎜ 이상의 집중호우로 보조댐이 범람하고 댐 상단이 유실돼 올림픽경기용 수영장 200만 개를 채울 수 있는 50억㎥의 ‘물폭탄’이 하류를 덮쳤다. 이로 인해 하류 6개 마을이 침수돼 1,300가구, 6,60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수백 명의 사망ㆍ실종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서울신문
■ 국민일보
■ 매일경제
■ 한국경제
■ 서울경제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링크를 누르면 새창으로 열립니다.)
(본 블로그에 게재된 각 신문사의 사설의 순서는 실제 지면에 실린 사설 순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예 : ㄱ신문사의 실제 신문 지면에 실린 사설의 순서가 A, B, C 일 경우
본 블로그의 사설 순서는 B, C, A 등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2018년 7월 26일 목요일
오늘의 주요신문 1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국일보
서울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
서울경제
전자신문
코리아헤럴드
코리아중앙데일리
코리아타임스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하트(♥)를 클릭해 주세요
댓글